트리플네거티브 유방암, 원인 밝혀졌다?

트리플네거티브 유방암, 오메가-6 지방산과 연관성 밝혀져

트리플네거티브 유방암의 성장과 진행에 식이성 오메가-6 지방산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특히 리놀레산이 특정 단백질과 상호작용해 종양 성장 경로를 활성화한다는 메커니즘이 처음으로 규명됐습니다.

트리플네거티브 유방암이란?

호르몬 수용체가 결핍된 난치형 유방암

트리플네거티브 유방암은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HER2 수용체가 모두 음성인 유형입니다.

호르몬 요법이나 표적치료가 어려워 예후가 비교적 불리하고 공격적인 성향을 보입니다.

리놀레산이 종양 성장 경로를 자극

mTORC1 경로를 활성화하는 리놀레산

리놀레산은 대두유, 해바라기유, 돼지고기, 계란 등에 풍부한 오메가-6 지방산입니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리놀레산이 FABP5라는 단백질과 결합하면서 mTORC1이라는 종양 성장 경로를 자극합니다. 이 경로는 트리플네거티브 유방암 세포에서 특히 활발히 작동합니다.

실험 결과: 식이성과 종양 성장의 상관관계

지방산 섭취가 종양 발달에 직결

생쥐 실험에서는 리놀레산이 높은 식단을 섭취할 경우 FABP5 발현이 증가하고, mTORC1 경로가 활성을 띠며 종양 성장도 촉진됐습니다.

실제 환자 시료 분석에서도 리놀레산과 FABP5 수치가 모두 높게 나타났습니다.

FABP5, 유망한 바이오마커로 주목

정밀영양 및 치료전략 수립에 도움

FABP5는 트리플네거티브 유방암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로, 조기 진단이나 예후 판단의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10분만에 현금 7만원 받으러 가기 * 이 링크는 제휴 리워드 링크입니다.

또한 FABP5가 활성화된 경로를 표적으로 하는 영양·치료 전략이 개발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다른 질환과의 연관성도 주목

전립선암부터 대사질환까지 확장 가능성

연구팀은 해당 FABP5-mTORC1 경로가 일부 전립선암 유형이나 비만, 당뇨병 같은 질환과도 연관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아직 초기 단계지만, 다양한 질병에서 동일한 기전을 공유할 가능성이 제시됐습니다.

핵심 요약

  • 트리플네거티브 유방암에서 오메가-6 지방산인 리놀레산은 종양 성장 경로를 활성화함
  • FABP5 단백질과의 결합을 통해 mTORC1 신호를 자극함
  • FABP5는 향후 바이오마커 혹은 치료 타깃으로 활용 가능성 있음
  • 초기 데이터는 유방암 외에 일부 암과 만성질환에서도 유사한 경로 작동 가능성을 시사함

출처 : 원문 보러가기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