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 결핍성 빈혈, 원인과 해결 방법
철 결핍성 빈혈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영양 결핍 중 하나다. 철분은 적혈구를 형성하고 산소를 운반하는 데 필수적인 영양소로, 철분이 부족하면 건강한 적혈구가 충분히 생성되지 못해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
철분 영양제, 빈혈 치료에 도움돼
철분 영양제는 음식만으로 충분한 철분을 섭취하기 어려울 때 부족한 철분을 보충하는 데 유용하다. 모든 철분 영양제가 빈혈 치료에 효과가 있지만, 흡수율과 부작용은 각각 다를 수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처방약과 달리 영양제를 엄격하게 규제하지 않기 때문에, 일부 제품은 라벨에 표시된 성분을 정확히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철분 영양제를 고를 때는 NSF, 미국 약전(U.S. Pharmacopeia), ConsumerLab.com 등의 기관에서 독립적으로 테스트하거나 인증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신에게 적합한 철분 영양제를 찾기 위해서는 의사, 영양사, 약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
빈혈 증상과 철분 보충 기간
철 결핍성 빈혈의 초기 증상으로는 피로, 과민성, 식욕 감소, 두통, 집중력 저하 등이 있다. 빈혈이 심해지면 손톱이 약해지고, 어지러움, 호흡 곤란, 혀의 염증, 비정상적인 식욕(비식품 섭취 욕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철분 영양제를 두 달가량 섭취하면 혈중 철분 수치가 정상 범위로 회복되지만, 체내 철분 저장량을 충분히 쌓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섭취가 필요할 수도 있다.
보충 기간은 빈혈의 정도, 복용하는 철분의 형태, 섭취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보충 시작 후 8~12주 후에 혈액 검사를 통해 철분 수치의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철 결핍 위험이 높은 사람은?
철 결핍 위험이 높은 사람들은 정기적으로 철분 수치를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 생리 중인 여성 ▲ 임산부 ▲ 특정 질환을 가진 사람 ▲ 소화기관 문제로 철분 흡수가 어려운 경우 등이 포함된다. 철분 결핍 여부를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혈액 검사를 받아야 한다.
철분 영양제의 다양한 형태와 흡수율
철분 영양제는 캡슐, 정제, 츄어블 정제, 액체 형태 등으로 제공되며, 포함된 철의 종류도 다양하다.
▲ 황산제일철(ferrous sulfate)▲ 글루콘산제일철(ferrous gluconate) ▲ 푸마르산제일철(ferrous fumarate) ▲ 비스글리시네이트제일철(ferrous bisglycinate) ▲ 구연산제삼철(ferric citrate) ▲ 황산제삼철(ferric sulfate) 등이 대표적이다.
각각의 형태마다 체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철(원소철, elemental iron) 함량이 다르며, 푸마르산제일철이 원소철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철분 영양제 섭취 시 주의사항
철분 영양제는 복통, 소화 불량, 설사, 변비, 흑색 변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하루에 여러 번 나누어 소량씩 섭취하거나 음식과 함께 복용하면 일부 부작용을 줄일 수 있지만, 이 경우 흡수율이 낮아질 수 있다. 특히 킬레이트화된 철분(chelated iron) 영양제는 부작용이 적은 편으로 알려져 있다.
철분을 과다 섭취하면 건강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 적정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기간 복용 시 장운동에 영향을 미쳐 변비나 설사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철분 흡수율을 높이는 방법
철분의 효과적인 흡수를 위해서는 공복에 섭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비타민 C와 함께 먹으면 흡수율이 증가한다. 반면, 칼슘이 많은 음식(우유, 치즈), 커피, 차, 고섬유 식품 등은 철분 흡수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철분 영양제와 최소 1시간 간격을 두고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품에서 얻을 수 있는 철분
철분은 ▲ 동물성 식품에서 얻을 수 있는 헴철(heme iron)과 ▲ 식물에서 얻을 수 있는 비헴철(non-heme iron)로 나뉜다. 동물성 철분은 체내 흡수율이 높은 반면, 식물성 철분은 다소 낮을 수 있다. 그러나 철분이 풍부한 음식(붉은 고기, 시금치, 콩류 등)을 충분히 섭취하면 식물성 철분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주방에서 무쇠 팬을 사용하면 음식에 소량의 철분이 더해져 철분 섭취량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철분 영양제와 균형 잡힌 식단이 중요
철분이 풍부한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식품만으로 충분한 철분을 섭취하기 어려울 경우 영양제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결과적으로, 철분이 풍부한 식단과 함께 적절한 영양제 섭취를 병행하는 것이 체내 철분을 효과적으로 보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철분 섭취는 건강과 신체 기능을 향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개인별 권장 섭취량과 적절한 복용 방법을 확인하려면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출처 : 원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