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놀레산, 삼중음성 유방암 성장 촉진 가능성 밝혀져
삼중음성 유방암(TNBC)에서 리놀레산 섭취가 종양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리놀레산은 일반적인 식물성 기름에 풍부한 오메가-6 지방산으로, 특정 단백질 경로를 통해 암세포의 성장 신호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리놀레산과 암세포 성장의 연관성
삼중음성 유방암에 특이적으로 작용
리놀레산은 대두유, 홍화유 등 식물성 기름과 돼지고기, 달걀 같은 동물성 식품에 다량 함유된 필수 지방산입니다. 연구진은 이 성분이 그 자체로 TNBC 세포 내 성장 조절 경로를 자극한다는 점을 밝혔습니다.
특히, 리놀레산이 FABP5라는 단백질에 결합하면서 mTORC1 경로를 활성화하고, 이는 곧 암세포 증식으로 이어진다고 분석했습니다.
일반 유방암에는 해당되지 않아
이번 작용은 에스트로겐이나 프로게스테론 수용체가 존재하는 다른 형태의 유방암과는 달리, FABP5가 많이 발현되는 TNBC에서만 관찰됐습니다. 이는 리놀레산 특이적 작용이 암의 아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동물 실험으로 입증된 성장 효과
연구팀은 TNBC 생쥐 모델에 리놀레산 비중이 높은 식단을 제공했습니다. 그 결과, 암의 성장 속도가 뚜렷하게 증가했습니다.
이로 인해 높은 리놀레산 섭취가 암종에 따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서구식 식단과 리놀레산 과잉 섭취
과도한 식물성 기름 소비의 위험
현대 서구식 식단에서는 가공식품과 튀김류의 섭취 증가로 인해 리놀레산 섭취량이 과다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평균적인 권장 섭취량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리놀레산은 필수 지방산이지만, 특정 조건에서는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FABP5: 새로운 바이오마커 가능성
진단 및 맞춤 치료 실마리 열어
연구진은 TNBC 환자의 종양 및 혈액 샘플에서도 FABP5 및 리놀레산 농도가 높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이는 FABP5가 생물학적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를 통해 향후 개인 맞춤형 식이 조절이나 약물 치료 전략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남성암과 대사질환으로 확장된 적용
같은 연구 결과는 일부 전립선암에서도 유사한 경로가 활성화됨을 보여주었습니다. FABP5-mTORC1 경로는 비만,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과도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향후 다양한 질환에 대한 연구 확대의 근거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핵심 요약
- 리놀레산이 삼중음성 유방암 세포 내 mTORC1 신호 경로를 활성화시켜 종양 성장을 촉진함
- FABP5 단백질이 이 과정에 핵심적으로 작용하며,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가능성 제시됨
- 전립선암과 대사 질환에도 유사한 조절 경로 작용 가능성 확인됨
- 리놀레산 과잉 섭취가 암 진행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경고로 해석될 수 있음
출처 : 원문 보러가기